- 13. 턴오버(Turnovers)
- 13.1. 턴오버는 한 팀이 점유하던 디스크를 다른 팀에게 넘겨주는 것이다. 턴오버는 아래의 경우 발생한다.
- 13.1.1. “다운(Down)”: 공격팀 선수가 디스크를 점유하지 못한 상태로 디스크가 지면에 접촉한 경우
- 13.1.2. “인터셉션(Interception)”: 수비팀 선수가 패스를 받은 경우
- 13.1.3. “아웃(Out-of-bounds)”: 디스크가 아웃된 경우
- 13.1.4. “드롭트 풀(Dropped pull)”: 풀을 받는 팀이 디스크가 지면에 떨어지기 전에 디스크에 접촉했으나 놓친 경우
- 13.2. 아래 같은 상황에선 턴오버가 발생하며 경기가 중단된다.
- 13.2.1. 공격팀이 디스크 받는 과정에서 언콘테스티드 파울을 범한 경우
- 13.2.2. “스톨아웃(Stall-out)”: 마커가 스톨 카운트 10을 부를 때까지 스로워가 디스크를 던지지 못한 경우
- 13.2.3. “핸드오버(Hand over)”: 공격팀 선수가 다른 선수에게 디스크를 전달할 때, 디스크에 두 사람 모두가 닿은 상태로 건네줄 때
- 13.2.4. “디플렉션(Deflection)”: 스로워가 고의로 디스크를 다른 선수의 몸에 맞혀 방향이 바뀌도록 패스한 경우
- 13.2.5. “더블터치(Double Touch)”: 스로워가 디스크를 던진 후 디스크가 다른 선수와 접촉하기 전에 디스크를 다시 잡은 경우
- 13.2.6. 공격팀 선수가 패스를 잡으려는 같은 팀 선수의 움직임을 의도적으로 도운 경우, 또는
- 13.2.7. 공격팀 선수가 패스를 잡기 위해 장비를 사용한 경우
- 13.3. 턴오버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선수는 즉시 적절한 콜을 불러야 한다. 상대 팀은 동의하지 않는 경우 “콘테스트”를 부를 수 있다. 플레이에 관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선수 간에 합의를 이루지 못하거나 플레이에서 어떤 상황이 발생했는지 분명하지 않은 경우, 디스크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이전 플레이의 스로워에게 돌아간다.
- 13.4. 스톨 아웃 되기 전에 패스트 카운트(Fast count)가 발생했으나 공격팀 선수가 패스트 카운트 콜을 부를 합당한 기회를 얻지 못한 경우, 플레이는 콘테스티드 스톨 아웃 상황으로 간주한다(9.5.3 참조).
- 13.4.1. 스로워가 스톨 아웃에 콘테스트를 불렀으나 동시에 패스를 시도해서 실패한 경우, 이는 턴오버이며 체크를 통해 경기를 재개한다.
- 13.5. 턴오버 후 공격팀 선수 누구나 디스크를 점유할 수 있다. 단, 아래 상황은 예외이다.
- 13.5.1. 인터셉션에서 비롯된 턴오버에서는 인터셉션을 한 선수가 디스크를 점유한다.
- 13.5.2. 공격팀의 리시브(Receive) 파울에서 비롯된 턴오버에서는 수비팀의 파울 당한 선수가 디스크를 점유한다.
- 13.6. 디스크를 점유한 선수가 고의로 디스크를 떨어뜨리거나 지면에 디스크를 내려놓는 경우, 해당 선수는 다시 디스크를 점유하고 체크를 통해 경기를 재개한다.
- 13.7. 턴오버가 발생하는 경우, 턴오버 지점은 아래 같다.
- 13.7.1. 디스크가 정지한 지점, 또는 공격팀 선수가 디스크를 주운 지점.
- 13.7.2. 인터셉션 한 선수가 정지한 지점.
- 13.7.3. 13.2.2, 13.2.3, 13.2.4, 13.2.5의 경우 스로워가 위치했던 지점.
- 13.7.4. 13.2.6, 13.2.7의 경우 공격팀 선수가 위치했던 지점.
- 13.7.5. 공격팀이 언콘테스티드 리시브 파울을 범한 지점.
- 13.8. 턴오버 지점이 아웃인 경우, 혹은 턴오버 시점 이후 디스크가 아웃 영역에 접촉한 경우, 스로워는 디스크가 아웃된 지점과 가장 가까운 센트럴 존에서 피벗을 정해야 한다(11.7. 참조).
- 13.8.1. 13.8.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, 13.9, 13.10, 13.11에 따라 피벗 지점을 정해야 한다.
- 13.9. 턴오버 지점이 센트럴 존에 있는 경우, 스로워는 바로 그 지점에서 피벗을 정해야 한다.
- 13.10. 턴오버 지점이 공격하는 엔드 존에 있는 경우, 스로워는 가장 가까운 골라인 지점에서 피벗을 정해야 한다.
- 13.11. 턴오버 지점이 수비하는 엔드 존에 있는 경우, 스로워는 아래와 같이 피벗을 정한다.
- 13.11.1. 턴오버 지점에서 머무르거나 페이크 패스함으로써 해당 지점에서 피벗을 정한다. 또는
- 13.11.2. 턴오버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골라인으로 이동해 피벗을 정한다.
- 13.11.2.1. 스로워는 디스크를 줍기 전에 한쪽 팔을 머리 위로 쭉 뻗어 골라인에서 경기를 재개한다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.
- 13.11.3. 즉각적인 움직임, 움직이지 않음, 혹은 골라인에서 시작할 것임을 알리는 신호를 통해 피벗을 정하며, 번복할 수 없다.
- 13.12. 턴오버가 발생했으나, 턴오버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로 경기가 계속된 경우, 경기는 중단되며 디스크는 턴오버 지점으로 돌아간다. 선수들은 턴오버가 발생한 시점의 위치로 되돌아가며, 디스크 체크를 통해 경기를 재개한다.
- 13.1. 턴오버는 한 팀이 점유하던 디스크를 다른 팀에게 넘겨주는 것이다. 턴오버는 아래의 경우 발생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