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18. 인프랙션 (Infractions)과 바이올레이션 (Violations)
- 18.1. 마킹(Marking) 인프랙션:
- 18.1.1. 마킹 인프랙션은 아래 같은 경우를 포함한다.
- 18.1.1.1. “패스트 카운트(Fast Count)"
- 18.1.1.1.1. 마커가 유효한 디스크 상태 전에 스톨 카운트를 시작하는 경우
- 18.1.1.1.2. 마커가 스톨 카운트를 “스톨링”이라는 단어로 시작하지 않은 경우
- 18.1.1.1.3. 마커가 스톨 카운트 간격을 1초 이내로 하는 경우
- 18.1.1.1.4. 마커가 스톨 카운트 숫자를 내리거나 리셋해야 상황에 그대로 이행하지 않은 경우
- 18.1.1.1.5. 마커가 틀린 숫자에서 스톨 카운트를 시작하는 경우
- 18.1.1.2. “스트래들(Straddle)” – 수비팀 선수 양발을 잇는 선 가운데 스로워의 피벗 지점이 걸쳐 있는 경우를 말한다.
- 18.1.1.3. “디스크 스페이스(Disc Space)” – 수비팀 선수의 어느 신체 부위와 스로워의 상반신과의 거리가 디스크의 지름보다 짧은 거리인 경우를 말한다. 그러나 스로워의 움직임이 이 같은 상황을 초래한 경우, 인프랙션으로 인정하지 않는다.
- 18.1.1.4. “래핑(Wrapping)” – 수비팀 선수의 양손 또는 양팔을 잇는 선 가운데 스로워의 몸통이 걸쳐 있거나, 수비팀 선수의 어느 신체 부위가 스로워의 피벗 지점 위에 걸쳐 있는 경우에 발생한다. 그러나 스로워의 움직임이 이 같은 상황을 초래한 경우, 인프랙션으로 인정하지 않는다.
- 18.1.1.5. “더블 팀(Double Team)” – 마커가 아닌 수비팀 선수가 다른 공격팀 선수를 수비하고 있지 않으면서 스로워의 피벗 지점에서 3m 내에 있는 경우를 말한다. 그러나 단순히 3m 반경을 가로질러가는 것은 더블 팀이 아니다.
- 18.1.1.6. “비전(Vision)” – 수비팀 선수가 자신의 신체 일부를 사용하여 고의로 스로워의 시야를 가리는 경우를 말한다.
- 18.1.1.1. “패스트 카운트(Fast Count)"
- 18.1.2. 마킹 인프랙션에 수비팀은 콘테스트를 부를 수 있으며, 이 경우 경기는 중단된다.
- 18.1.3. 18.1.1에 정의된 마킹 인프랙션에 콘테스트가 불리지 않으면, 마커는 콜 직전 마지막으로 말한 숫자에서 1을 뺀 숫자부터 스톨 카운트를 시작한다.
- 18.1.4. 마커는 부당하다고 지적된 위치를 정정하지 않은 채, 스톨 카운트를 시작해선 안 된다. 그렇지 않으면 연속으로 마킹 인프랙션에 해당한다.
- 18.1.5. 아래 같은 상황에서 스로워는 마킹 인프랙션을 부르는 대신, 마킹 바이올레이션을 부르고 경기를 중단할 수 있다.
- 18.1.5.1. 스톨 카운트가 올바르게 정정되지 않은 경우
- 18.1.5.2. 스톨 카운트를 세지 않는 경우
- 18.1.5.3. 터무니없는 마킹 인프랙션이 발생한 경우
- 18.1.5.4. 반복적인 마킹 인프랙션 경향이 있는 경우
- 18.1.6. 스로워가 마킹 인프랙션 또는 바이올레이션 콜을 부르기 전, 또는 부른 이후 패스를 시도하면 해당 콜은 유효하지 않고, 패스가 실패한 경우 턴오버가 인정된다. 그러나 그 외 추가적인 규칙 위반 행위가 발생한 경우 디스크는 스로워에게 되돌아가며 마커는 스톨 카운트를 올바르게 정정해야 한다.
- 18.1.1. 마킹 인프랙션은 아래 같은 경우를 포함한다.
- 18.2. 트래블(Travel) 인프랙션:
- 18.2.1. 스로워가 온전하게 인 영역에 위치하거나 인 영역에서 피벗을 정한 이상, 스로워는 언제든 패스를 시도할 수 있다.
- 18.2.1.1. 단, 인 상태의 선수가 공중에서 패스를 잡았을 때, 지면에 착지하기 전에 패스를 시도할 수 있다.
- 18.2.2. 디스크를 캐치하고 인 영역에 착지한 스로워는 방향을 바꾸지 않으면서 가능한 한 신속하게 속도를 줄여 피벗을 정해야 한다.
- 18.2.2.1. 던지는 동작 내내 필드와 접촉하고 있기만 하면, 스로워는 속도를 줄이면서 동시에 디스크를 던질 수 있다.
- 18.2.3. 스로워는 ‘피벗 지점’을 정하고 난 다음에만 방향을 바꿀 수 있다(피벗 할 수 있다). 피벗 지점은 스로워의 신체 일부분과 지속적인 접촉을 유지하는 플레잉 필드 내 특정지점을 의미한다.
- 18.2.4. 스로워는 누워 있거나 무릎을 꿇은 상태에선 피벗을 정할 필요가 없다.
- 18.2.4.1. 만약 선수가 일어서더라도 같은 위치에서 피벗을 정하면 트래블에 해당하지 않는다.
- 18.2.5. 트래블 인프랙션은 아래 같은 경우에 발생한다.
- 18.2.5.1. 스로워가 플레잉 필드 내 잘못된 지점에서 피벗 한 경우
- 18.2.5.2. 스로워가 피벗을 정하기 전 또는 디스크를 던지기 전에 방향을 바꾼 경우
- 18.2.5.3. 스로워가 캐치 후 신속하게 속도를 줄이지 못한 경우
- 18.2.5.4. 스로워가 디스크 던지기 전까지 피벗 지점을 유지하지 못한 경우
- 18.2.5.5. 스로워가 던지는 동작 중 필드와 접촉을 유지하지 못한 경우
- 18.2.5.6. 선수가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려고 고의로 디스크를 튕기거나, 디스크를 더듬거리며 잡거나, 디스크를 가지고 우물쭈물하는 경우
- 18.2.6. 트래블 인프랙션(“트래블”)에 콘테스트가 불리지 않은 경우 경기는 중단되지 않는다.
- 18.2.6.1. 스로워는 트래블을 부른 선수가 가리킨 올바른 지점에서 피벗을 정한다. 트래블과 관련된 두 선수가 피벗을 정하는 과정이 지체돼선 안 된다.
- 18.2.6.2. 스톨 카운트는 중단되며, 스로워는 피벗을 올바르게 정할 때까지 디스크를 던져서는 안 된다.
- 18.2.6.3. 마커는 스톨 카운트를 다시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“스톨링”을 외쳐야 한다.
- 18.2.7. 트래블 인프랙션이 불렸으나, 스로워가 피벗을 정정하기 전에 패스해서 성공한 경우, 수비팀은 트래블 바이올레이션을 부를 수 있다. 경기는 중단되며 디스크는 스로워에게 돌아간다. 스로워는 인프랙션이 발생한 시점의 위치로 돌아가야 하며, 디스크 체크를 통해 경기를 재개한다.
- 18.2.8. 트래블 인프랙션이 불리었으나, 스로워가 패스해서 실패한 경우, 경기는 계속된다.
- 18.2.9. 스로워가 아직 디스크를 던지지 않은 상황에서 트래블 인프랙션에 콘테스트가 불리면, 경기는 중단된다.
- 18.2.1. 스로워가 온전하게 인 영역에 위치하거나 인 영역에서 피벗을 정한 이상, 스로워는 언제든 패스를 시도할 수 있다.
- 18.3. 픽(Pick) 바이올레이션
- 18.3.1. 수비팀 선수가 다른 선수 때문에 자신이 수비하던 공격팀 선수를 향해 가거나 따라가는 움직임을 방해받았다면 해당 수비팀 선수는 “픽” 콜을 부를 수 있다. 단, 공격팀 선수와 경로를 방해한 선수 모두 디스크 플레이를 하고 있었다면 ‘픽’으로 인정하지 않는다.
- 18.3.1.1. 수비팀 선수는 픽 콜을 부르기 전에 픽이 플레이에 영향을 미쳤는지 판단하기 위해 2초간 콜을 연기할 수 있다.
- 18.3.2. 경기가 중단되면, 방해받은 선수는 방해받지 않았을 때 자신이 점유했을 것이라고 합의한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(별도로 규칙에 명시되지 않는 경우).
- 18.3.3. 모든 선수는 픽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.
- 18.3.3.1. 경기가 중단된 상황에서 양 팀 선수는 픽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약간의 위치 조정에 합의할 수 있다.
- 18.3.1. 수비팀 선수가 다른 선수 때문에 자신이 수비하던 공격팀 선수를 향해 가거나 따라가는 움직임을 방해받았다면 해당 수비팀 선수는 “픽” 콜을 부를 수 있다. 단, 공격팀 선수와 경로를 방해한 선수 모두 디스크 플레이를 하고 있었다면 ‘픽’으로 인정하지 않는다.
- 18.1. 마킹(Marking) 인프랙션: